ppakssam84 님의 블로그

ppakssam84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20.

    by. ppakssam84

    목차

      1. 켄 피셔의 '슈퍼 스탁스'란?

      켄 피셔(Ken Fisher)는 저명한 투자 전략가이자 그의 아버지 필립 피셔(Philip Fisher)의 투자 철학을 계승한 금융 전문가입니다. 그는 **주식 평가 및 투자 전략에 있어 전통적인 PER(주가수익비율)이나 PBR(주가순자산비율)보다 PSR(주가매출비율, Price to Sales Ratio)과 PRR(주가연구개발비율, Price to Research Ratio)**을 더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켄 피셔의 대표 저서인 *슈퍼 스탁스(Super Stocks)*에서는 기업의 일시적인 악재로 인해 저평가된 우량주를 찾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을 강조하며,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슈퍼 스탁스 전략의 핵심 원칙

      전통적인 저PER, 저PBR 주식이 반드시 좋은 투자처는 아니다.
      기업의 일시적 악재는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PSR과 PRR을 활용하면 초과 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성장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투자 전략 - PSR과 PRR 활용법

      켄 피셔는 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때 단순히 PER이나 PBR을 보는 것이 아니라 **PSR(주가매출비율)과 PRR(주가연구개발비율)**을 중심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① PSR(주가매출비율, Price to Sales Ratio) 활용법

      PSR은 기업의 매출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낮을수록 저평가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PSR이 1 이하이면 저평가 가능성이 높고, 0.75 이하이면 강력한 매수 신호
      • PSR이 낮은 기업은 시장에서 인정을 덜 받았지만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경우가 많음
      •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장기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찾는 데 유용

       PSR 활용 예시

      • IT 기업 A가 PSR 0.5로 거래된다면, 매출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 상태일 가능성이 큼.
      • 향후 시장이 성장하면서 PSR이 2 이상으로 상승하면 큰 수익 실현 가능.

      ② PRR(주가연구개발비율, Price to Research Ratio) 활용법

      PRR은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기술 기업과 바이오 기업의 성장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 PRR이 낮을수록 연구개발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된 상태
      • R&D 지출이 많은 기업 중 PRR이 낮은 기업을 선별하면, 미래 성장성이 높은 종목을 찾을 수 있음

       PRR 활용 예시

      • 바이오 기업 B가 PRR 1.2일 경우, 연구개발 대비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음.
      • 신약 개발 성공 시 PRR이 5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큰 폭의 주가 상승 기대 가능.

      켄 피셔의 슈퍼 스탁스 - PSR과 PRR을 활용한 전략 분석

      3. PSR·PRR 투자 전략 성과 분석 – 성공적인 주식 투자 방법

      켄 피셔의 슈퍼 스탁스에서 강조한 PSR(주가매출비율)과 PRR(주가연구개발비율) 전략은 실제 투자에서 강력한 성과를 보여줍니다. 특히 저PSR, 저PRR 주식을 선별하여 장기 투자할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① PSR과 PRR 전략을 활용한 투자 성과 분석

      켄 피셔가 제안한 PSR + PRR 전략을 적용한 과거 데이터 백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연평균 복리 수익률(CAGR)이 약 29%에 달했던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PSR과 PR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한 경우

      • 초기 5년 동안 연평균 복리(CAGR) 25~30% 성장
      • 10년 이상 장기 보유 시 10배 이상의 수익 실현 가능
      • 그러나 최근 5년간의 성과는 10~15%로 감소했으며, 시장 환경에 따라 성과 변동

      PSR이 낮은 기업의 성과

      • PSR이 0.75 이하인 기업군에서 PER 기반 투자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
      • 미국 시장에서 PSR이 0.5 이하인 기업이 5년간 평균 18~20% 상승
      • 한국 시장에서는 PSR이 0.75 이하인 기업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승 곡선을 보임

      PRR이 낮은 기업의 성과

      • 연구개발(R&D) 지출이 높은 기업 중 PRR이 낮은 기업은 35년 내 3050% 성장
      • 미국 대형주에서는 PRR이 PSR보다 더 유효한 투자 지표로 활용됨
      • 기술주(테크) 및 바이오 주식에서 강한 상승세

      PSR과 PRR을 함께 활용했을 때

      • PSR과 PRR을 동시에 고려한 포트폴리오는 낮은 PER을 가진 기업보다 높은 수익률 기록
      • 연구개발(R&D) 비용이 높은 성장 기업들에서 특히 효과적
      • 하지만 경기 침체 시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가 필요

      4. 시장별 PSR·PRR 성과 비교 분석

      켄 피셔의 전략은 시장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시장 유형PSR·PRR 효과주요 특징
      미국 대형주  PRR이 PSR보다 유효 대형주는 연구개발 투자 대비 주가 분석이 중요
      미국 중소형주  PSR과 PRR 모두 유효 중소형 가치주 및 기술주에서 효과적
      한국 대형주  PSR·PRR 효과 제한적 PER, PBR이 더 유효한 지표
      한국 중소형주  PSR과 PRR 유효 중소형 가치 성장주에서 높은 수익률 가능

      즉, 미국 시장에서는 PRR이 강력한 지표이며, 한국에서는 PSR과 PRR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5. 실전 투자 적용법 – PSR·PRR 전략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PSR과 PRR을 실전 투자에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따를 수 있습니다.

      ① 기업 스크리닝 방법

      1. PSR이 1 이하이면서 PRR이 낮은 기업을 선별
      2. 연구개발(R&D) 지출 비율이 높은 성장 기업 찾기
      3. 최근 일시적 악재로 인해 주가가 하락한 기업 조사

      ② 백테스트 진행

      • 퀀트 투자 플랫폼(퀀터스, 퀀트킹 등)을 활용하여 백테스트를 수행
      • 과거 데이터 분석 후 PSR과 PRR 조합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을 도출

      ③ 포트폴리오 구축 및 리밸런싱

      • 저PSR, 저PRR 주식을 선별하여 분산 투자
      • 분기별 또는 반기별 리밸런싱을 통해 포트폴리오 재조정
      • PSR과 PRR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익절 고려

      6. PSR·PRR 전략 적용 시 주의할 점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클 수 있음

      • 기업의 매출과 연구개발비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 하락을 견딜 수 있는 투자 전략이 필요

      유동성이 낮은 기업 주의

      • PRR이 낮더라도 거래량이 낮고 유동성이 부족한 주식은 투자 시 신중해야 함

      산업별 차이 존재

      • 기술주(테크) 및 바이오 기업에서는 PSR, PRR이 강력한 투자 지표
      • 전통적인 제조업이나 금융업에서는 PER, PBR이 더 유효한 경우가 많음

      7. 결론 – PSR·PRR 전략을 활용한 성공적인 투자법

      PSR과 PRR을 활용하면 전통적인 PER, PBR보다 효과적인 투자 가능
      미국 시장에서는 PRR이, 한국 중소형주에서는 PSR과 PRR이 유효
      GPM(매출총이익률), OPM(영업이익률), NPM(순이익률) 등 추가 지표와 함께 활용해야 안정적인 성과 가능
      퀀트 투자와 결합하면 더욱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

      켄 피셔의 슈퍼 스탁스 전략을 참고하여 PSR과 PRR을 활용한 나만의 투자 전략을 구축해 보세요!